자연을 담은 시와 그림의 만남
악수
[책 소개]
자연이 가르쳐주는
악수하는 법을 배우다!
시집 한 권을 읽어도 마음을 치는 시는 한두 편이곤 한다. 독자의 마음에 스미는 그런 시 한 편을 눈웃음 같은 그림이 찾아갔다. 그렇게 만난 시와 그림은 서로 손을 맞잡아 악수했다. 그러고는 시 한 구절마다 그림 한 장씩이 그려졌다. 그렇게 시와 그림 36쪽이 차곡차곡 완성되어 큰 판형의 양장본 ‘시 그림책’이 되었다. 책 제목은 시의 제목이었다. 그것은 ‘악수’였다.
이 책은 애독자가 많은 함민복 시인의 시 한 편에, 정겨운 화풍을 지닌 이철형 화가의 그림들이 더해져서 이야기 그림책처럼 제작된 ‘시 그림책’이다. 시와 이야기는 다르지만, 이 그림책의 시에는 그윽한 동화 같은 발견의 통찰이 담겨 있다. 그것은 ‘친밀히 관계 맺는 자연의 발견’이라고 말하거나 ‘세상 모두와 어울리는 자연의 발견’이라고 얘기할 수 있는 함민복 시인만의 순간적 알아차림에서 비롯되었다. 바로 그 발견의 통찰을 이 책의 시인은 시로 표현하였고, 이 책의 화가는 그 시를 독자들이 더욱 풍성하고 자유롭게 느낄 수 있도록 그려냈다.
예컨대, 이 그림책에는 시의 이야기 흐름과는 전혀 무관하게 엉뚱하게도 아주 조그만 동물이 하나 등장하는데, 이 생명체가 어떤 모습으로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를 살펴보는 일은 독자에게 또 다른 재미를 준다. 뿐만 아니라 단풍잎이 바람과 달빛과 어둠과 빗방울과 꽃향기와 눈보라와 각각 어떻게 만나는지를 그림으로 살펴보는 일은 눈 밝은 독자에게는 꽤 흐뭇한 즐거움이 될 것이다. 그런 만큼 이 책의 그림들은 대자연의 개체들이 서로 어떻게 친밀히 어울리는지를 섬세한 동화적 상상력으로 잘 보여주고 있다. 그것은 시의 언어를 회화의 이미지로 멋지게 번역한 성공 사례이기도 할 것이다.
이렇듯 시를 통째로 낱낱이 그림으로 형상화하는 일은 쉽지 않지만 시의 의미와 범위를 한결 더 넓히고 한층 더 깊게 하는 매력적인 도모이다. 이 책의 독자가 그것을 눈여겨보면, 이 책의 시인이 자연에서 발견한 각성의 통찰과 이 책의 화가가 시에서 찾아낸 구체적 이미지를 온전히 공유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이 바로 이 책이 뜻했던 바의 성과이자 보람의 증거일 테다. 시가 그림을 만나 구체적 장면을 얻고, 그림이 시를 만나 진실을 얻듯이, 이 책의 독자는 시와 그림을 한꺼번에 이해하고 느낄 수 있으니 말이다.
[지은이 소개]
글 함민복
1962년 충북 중원군에서 태어나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를 졸업했다. 1988년에 계간 『세계의 문학』에 시 「성선설」 등을 발표하며 등단했으며, 이듬해에는 『아동문학평론』에 동시 「강」을 발표했다. 시집으로 『자본주의의 약속』, 『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 『우울氏의 一日』, 『말랑말랑한 힘』, 『눈물을 자르는 눈꺼풀처럼』, 『바닷물 에고, 짜다』(동시집), 『노래는 최선을 다해 곡선이다』(동시집) 등이 있으며, 산문집으로 『눈물은 왜 짠가』, 『길들은 다 일가친척이다』, 『섬이 쓰고 바다가 그려주다』 등이 있다. 유심작품상, 김수영문학상, 애지문학상, 박용래문학상,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권태응문학상 을 수상했으며, 1996년부터 강화도에 살고 있다.
그림 이철형
1991년 경북 상주시에서 태어났다. 그림 동화 『펭귄 딘딤과 주앙 할아버지』를 비롯해, 초등학생 융합 교육서 ‘로로로 초등 시리즈’(20권)와 ‘마음으로 생각하는 인성 공부 시리즈’(3권) 등의 책들에 그림을 그렸다. 대학에서 시각 디자인을 공부했고, 직장에서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다.
전체 댓글 [0개]